본문 바로가기
건강

해리장애 개념, 유형, 진단, 치료

by healthyperson 2024. 4. 19.
반응형

해리장애 개념

해리장애 개념, 유형, 진단, 치료
해리장애

 

 

대부분의 사람은 스스로를 하나의 인격을 가진 사람으로 본다. 즉 하나의 자아를 경험한다. 그러나 해리장애 환자는 정체성이 없는 것처럼 느끼거나 정체성이 어떤 것인지 혼동되거나 2개 이상의 정체성을 경험하기도 한다. 통합된 생각, 감정, 행동 등 자신의 고유한 인격을 구성하는 데 중요한 요소들의 이상이 발견된다. 해리장애는 감정적으로나 정신적으로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다. 개인이나 상황과의 연결을 느끼지 못하거나, 자신의 정체성이나 인식이 혼란스러울 수 있다. 이는 심리적인 불균형으로 인해 발생하는 것으로, 일상생활에서의 기능에 영향을 줄 수 있다.

 

 

 

해리장애 유형

해리장애 유형
해리성 정체성 장애

 

해리장애의 유형은 해리성 기억상실, 해리성 둔주, 해리성 정체성 장애, 이인성 장애 등 크게 4가지로 분류한다. 대화 중 잠깐 의식이 다른 곳에 가 있는 경우, 최면이 잘 걸리는 경향과 같은 정상적 수준의 해리 증상도 있다. 그러나 해리장애가 있는 환자가 정상인보다 항상 최면에 더 잘 걸리지는 않는다. 

 

  1. 해리성 기억상실은 해리성 조현병이라고도 불린다. 해리성 기억상실은 해리성 둔주, 해리성 정체성 장애에서도 나타나지만 기억 상실만 있으면 해리성 기억상실로 진단한다. 기억하고 있던 중요한 정보를 갑자기 기억하지 못하게 되는 장애이다. 대개 스트레스가 심했거나 상처가 컸던 사건에 대한 기억 등이 잊힌다. 이는 단순한 건망증으로는 설명할 수 없는 상태이며 뇌 기능 장애 때문이 아니다. 특정 사건과 관련되어 심리적 자극을 준 부분을 선택적으로 혹은 전체적으로 기억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고 때로는 지속되어 온 과거 생활을 포함한 전 생애나 그 중 일정 기간에 대한 기억상실을 보이기도 한다. 새로운 정보를 학습하는 능력은 남아 있으며 치매와 달리 일반적 지식은 잘 유지하고 있어 생활에 지장은 없다. 해리 장애 중 가장 흔하며 사춘기와 청년기에 많이 발병하고 노인층에는 드물다. 남자보다 여자에게 많고 전시나 천재지변이 있을 때 발병률이 높다.
  2. 해리성 둔주는 자신의 과거나 이름, 자기 신분이나 직업 등 정체성에 대한 기억을 상실하여 가정 및 직장을 떠나 방황하거나 예정에 없던 여행을 하게 되는 장애이다. 이때 자신이 기억상실이 있다는 사실도 모른다. 환자는 다른 곳에서 새로운 신분이나 직업을 갖기도 한다. 자신이 누구인가를 알게 되어야 발병시기를 기억하나 둔주기간 동안의 일은 기억하지 못한다. 드물게 발생하며 강한 갈등상태, 전쟁이나 천재지변 때 잘 나타난다. 해리성 둔주는 결혼문제, 재정문제, 직업 문제, 전쟁 경험과 같은 고통스러운 감정적 경험으로부터 떠나고 싶은 강력한 동기가 있을 때 나타난다. 경계형 인격장애, 히스테리성 인격장애, 분열형인격장애 때 잘 나타난다. 
  3. 해리성 정체성 장애는 다중인격장애라고도 한다. 한 사람이 둘 이상의 인격을 가지고 있으며, 한 번에 한 인격이 그 사람의 행동을 지배한다. 성별, 연령, 인종에 상관없이 다양하게 나타난다. 인격 성향도 다양하고 상반되기도 한다. 변화된 인격에서 원래 인격으로 돌아갔을 때 그동안 생긴 일을 망각하는 것이 보통이다. 다른 인격을 기억하더라도 일부만 기억하며 친구나 아는 사람으로 경험하기도 한다. 이는 만성적 장애로서 흔히 어릴 때 정신적 외상, 특히 성적 학대를 받은 사실이 원인인 경우가 많다. 사춘기 이후에는 여성이 많고 소아의 경우는 남자가 많다. 가족력이 있을 때 발병률이 높다. 빈도는 낮으나 생각만큼 드물지는 않다. 원인은 미상이나 어린 시절에 성적 남용, 정신적 외상이나 신체적 폭행을 당했을 때 흔히 나타난다.
  4. 이인성 장애는 자신이 기계 같거나 몸의 특정 부위가 자기 신체 부위가 아닌 것처럼 느껴진다거나 정신 기능이나 감정 경험이 자신의 것이 아니라는 느낌이 든다. 늘 대하던 사람이나 사물이 달라졌거나 낯설다는 느낌이 들기도 한다. 때로는 주위가 모두 변하여 로봇이나 기계처럼 움직인다고 보는 비현실감도 나타난다. 특수한 형태로 자신의 의식이 몸 밖인 머리 위에 있는 듯이 느끼기도 하여 자신이 자신을 관찰하는 것처럼 느끼기도 한다. 환자는 이 장애를 인식하고 있다. 일반 인구의 70%에서 일시적 이인증을 볼 수 있다. 어린이에게서도 흔하고 어른이 낯선 곳을 여행할 때 일시적으로 느끼기도 한다. 여자가 많고 사춘기에 발병하며 40대 이후에는 드물다. 전투, 교통사고와 같은 심한 스트레스, 내분비장애, 간질, 뇌종양, 감각박탈, 감정적 외상, 우울, 불안 등이 원인으로 나타난다.

 

 

해리장애 진단

 

해리장애 진단은 정신 건강 전문가가 환자와 면담을 통해 환자의 증상, 기간, 심각성, 일상생활에 미치는 영향 등을 듣고 환자의 감정, 사고, 행동에 대한 관찰을 통해 진단을 내린다. 환자의 심리적 상태와 인지 기능을 평가하기 위해 심리평가, 성격 평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해리 장애를 진단하기 위해 특정 진단 도구나 테스트가 사용될 수 있다.

 

 

 

해리장애 치료

해리장애의 치료는 심리치료, 약물 치료, 정신건강 교육 및 자기 관리, 그룹 치료 등이 있다.

 

  1. 심리치료는 환자의 부정적인 사고 패턴을 파악하고 건강한 사고 습관을 형성하도록 돕는 인지행동치료, 환자의 대인관계와 커뮤니케이션을 개선하는 대인관계 치료, 환자에게 안정감을 주고 안전한 환경에서 자신을 표현하고 과거의 트라우마를 처리할 수 있도록 돕는 치료가 있다.
  2. 약물치료는 우울증이나 불안장애와 같은 동반 질환을 치료하기 위해 약물이 사용될 수 있다. 정신과 의사에게 상담받은 후 적절한 약물을 처방받아야 한다.
  3. 정신건강 교육 및 자기 관리는 환자와 가족에게 해리장애에 대한 교육을 제공하여 질병을 이해하고 적절한 대응 방법을 습득할 수 있도록 한다. 자기 관리 기술을 학습하여 스트레스 관리, 감정 조절, 대인관계 개성 등에 도움을 준다.
  4. 그룹 치료는 해리장애를 겪는 사람들을 위한 그룹 치료나 서포트 그룹에 참가하여 서로의 경험을 공유하고 지지를 받을 수 있다.

여러 치료 방법을 조합하여 개인에게 가장 적합한 접근 방식을 찾는 것이 중요하다. 개인의 증상과 상황을 고려하여 정신건강 전문가와 함께 통합적 치료 접근이 필요하다.

 

반응형